일반적은 VSS를 사용하여 Backup을 진행하는 Program을 VSS Requestor라고 합니다.
이 VSS Requestor의 경우 VSS 관련 Component에게 Request를 하여 Backup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때, VSS 서비스의 경우 요구에 따라 Backup 진행시 Shadow 복사본을 생성하여 Data에 대한 변경 사항 등을 Tracking 하여 Backup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때 Shadow 복사본이 존재하게 되는 공간이 Shadows Storage입니다.
따라서 Shadow 복사본 생성시에 Shadow 복사본이 존재하는 Shadows storage의 공간이 부족하게 되시면 Shadow 복사본이 생성되지 않게되시고 Backup 등이 실패하실 수 있습니다.
ShadowStroage의 경우 Default의 MAX 값이 Volume의 15% 크기로 자신의 Volume에 설정되게되며, Shadow Copy 본의 크기가 증가한다고 해서 Volume의 Max 값이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Backup이 진행되실때 3rd Party 백업 솔루션에서 해당 Max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십니다.
현재 공간이 부족하시다면 다른 Volume에 해당 공간이 생성되실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시고, 해당 공간을 Backup 솔루션에서 사용한다면 해당 값을 수동으로 변경하였을때 서비스 상에도 이슈는 없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만일 Shadowsotrage의 크기 조절을 수동으로 진행하실 경우 하기의 내용에 대해서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D 볼륨
vssadmin resize shadowstorage /for=D: /on=D: /maxsize=1111G
E 볼륨
vssadmin resize shadowstorage /for=E: /on=E: /maxsize=1167G
노란 부분을 수정하셔서 Volume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십니다.
The Basics of the Volume Shadow Copy Service (VSS)
https://blogs.technet.microsoft.com/josebda/2007/10/10/the-basics-of-the-volume-shadow-copy-service-vss/
'Microsoft > 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W12k Remote Desktop Session Host 설치시 WAS성능이슈 건 (0) | 2018.10.19 |
---|---|
Windows 2016 시작버튼 이슈 (3) | 2018.08.17 |
특정폴더의 현재 소유자의 변경 방법 (0) | 2017.02.16 |
Administrative Templates (.admx) 오류시 해결방법 (0) | 2016.11.22 |
winsxs 폴더 정리 방법 (0) |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