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모리 덤프 설정]
1.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 시작 및 복구 2. 디버깅 정보 쓰기를 “전체 메모리 덤프” 로 설정합니다. UI 에서 전체 메모리 덤프를 설정하지 못할 경우 아래 값을 설정해 주십시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CrashControl CrashDumpEnabled=0x1(REG_DWORD) (참고! 1: 전체 메모리 덤프, 2: 커널 메모리 덤프, 3: 미니 덤프) 3. 기존 파일에 덮어쓰기 : 옵션 선택 확인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4. %SystemRoot% 파티션에 Paging 파일이 존재해야 합니다. 5. System root 에 있는 Paging 파일의 크기가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커야 합니다. (C:\ D:\ 등으로 페이지 파일이 나뉘어 있어도 C:\에 있는 페이지 파일의 크기가 물리 메모리 보다 커야 합니다.) 아래는 물리 메모리가 4GB 일 경우 100MB 크게 설정하는 예 입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PageFiles c:\pagefile.sys 4196 4196 6. 설정 변경 후 시스템 재 부팅이 필요합니다. 7. 기본적으로 메모리 덤프는 C:\Windows\(%SystemRoot%) 에 저장됩니다. C Drive 에 공간이 충분히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Dedicated Dump 설정]
Windows Server 2008 이상 버전의 경우 다음과 같이 Dedicated Dump를 설정하여 다른 드라이브에 덤프 전용 페이징파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수정 후 적용을 위해서는 시스템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Dedicated Dump File (덤프수집 용도의 Pagefile)이 위치할 경로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CrashControl DedicatedDumpFile(REG_SZ) Value: D:\DedicatedDumpfile.sys
위에서 설정한 DedicatedDumpFile.sys의 크기 지정 전체메모리덤프의 경우 실제메모리 크기보다 최소 10MB 이상 크게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 4196 값은 실제 메모리가 4096MB(4GB)인 경우에 실제 메모리보다 100MB 크게 설정한 예.) DumpFileSize(REG_DWORD) Value: 4196
메모리덤프(MEMORY.DMP)가 생성될 위치 DumpFile(REG_EXPAND_SZ) Value: D:\temp\MEMORY.DMP |
[키보드를 이용한 크래쉬 메모리 덤프 설정 및 수집]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여 아래 레지스트리 키를 추가한 후,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키보드 종류에 따라서 레지스트리 설정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PS2, USB 모두 적용합니다.
PS2 키보드에 대한 레지스트리 설정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CrashOnCtrlScroll=0x1(REG_DWORD)
USB 키보드에 대한 레지스트리 설정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kbdhid\Parameters CrashOnCtrlScroll=0x1(REG_DWORD)
2. 문제가 다시 발생하면, 문제 현상이 10분 정도 지속된 이 후에 오른쪽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Scroll Lock 키를 두 번 눌러 행 덤프를 강제 수집합니다. |
[키보드 덤프 설정 – 키 변경]
키보드에 오른쪽 Ctrl이 없는 경우 아래 레지스트리 값을 설정하여 키 조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수정 후 적용을 위해서는 시스템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왼쪽 Ctrl + Scroll Lock 으로 설정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CrashDump CrashOnCtrlScroll=0x0(REG_DWORD) Dump1Keys=0x20 (REG_DWORD) Dump2Key=0x7d (REG_DWOR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값 이름: CrashOnCtrlScroll=0x0 (REG_DWOR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kbdhid\CrashDump CrashOnCtrlScroll=0x0(REG_DWORD) Dump1Keys=0x20 (REG_DWORD) Dump2Key=0x7d (REG_DWOR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kbdhid\Parameters 값 이름: CrashOnCtrlScroll=0x0 (REG_DWORD)
Scroll Lock 이 없을 경우 왼쪽 Ctrl + A 두 번 누르게 설정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Crashdump CrashOnCtrlScroll=0x0(REG_DWORD) Dump1Keys=0x20 (REG_DWORD) Dump2Key=0x1f (REG_DWOR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CrashOnCtrlScroll=0x0 (REG_DWOR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kbdhid\CrashDump CrashOnCtrlScroll=0x0(REG_DWORD) Dump1Keys=0x20 (REG_DWORD) Dump2Key=0x1f (REG_DWOR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kbdhid\Parameters 값 이름: CrashOnCtrlScroll=0x0 (REG_DWORD) |
'Microsoft > 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폴더의 현재 소유자의 변경 방법 (0) | 2017.02.16 |
---|---|
Administrative Templates (.admx) 오류시 해결방법 (0) | 2016.11.22 |
winsxs 폴더 정리 방법 (0) | 2016.11.21 |
VSS Backup & Using Tracing Tools (0) | 2015.12.22 |
성능수집 가이드 (0) | 2015.12.18 |